[앵커]<br />생리대 안전성 논란에 정치권도 바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단 6월에 발의된 '모든 성분 표시제' 법안 통과가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모든 성분 표시제가 통과된다고 해도 남은 문제가 더 있습니다.<br /><br />장아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시중에 판매하고 있는 생리대의 겉면에는 주요성분만 기재돼 있습니다.<br /><br />'부직포'나 '면상 펄프'처럼 성의 없이 표기된 제품들도 있습니다.<br /><br />현행 약사법이 의약외품에 대해 모든 성분을 표기하도록 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생리대 안전성 문제가 불거지자, 여당이 '전 성분 표시제'를 추진하겠다고 단언했습니다.<br /><br />[김태년 /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: 생리대, 마스크 등에 대해서도 화장품과 마찬가지로 모든 성분을 의무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전 성분 표시제를 추진하겠습니다.]<br /><br />사실 전 성분 표시제는 지난해 법안이 발의됐지만, 심사를 거치면서 생리대를 비롯해 마스크, 구강 청결용 물휴지 등은 빠졌습니다.<br /><br />때문에 지난 6월 최도자 의원 등 12명이 이 제외 항목을 삭제해 다시 법안을 발의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법안이 통과된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닙니다.<br /><br />실제로 이번에 문제가 된 '릴리안' 생리대는 여성환경연대가 자체적으로 평가한 전 성분 표시제 모니터링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, 홈페이지에 올린 성분에 문제가 된 유해물질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[이안소영 / 여성환경연대 사무처장 : '어디까지 표시할까'라는 쟁점이 남아 있습니다. 우리가 알고 싶어하는 것은 저희 검출 결과에 나온 것처럼 여러 유해한 물질이나 부작용과 연관있는 물질에 대해서인데 그것은 홈페이지 게재된 성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]<br /><br />소비자들이 성분을 일일이 꿰고 있기 힘든 현실에서 가장 좋은 것은 유해한 생리대가 유통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일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현재 식약처가 유해물질로 규제하고 있는 것은 포름알데히드와 색소, 형광증백제, 산·알칼리로 제한돼 있습니다.<br /><br />무려 20여 년 전 만들어진 기준입니다.<br /><br />최근 문제가 된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이나 잔류 농약, 중금속, 파라벤, 타르색소 등은 기준 자체가 없는 겁니다.<br /><br />이번 생리대 사태는 정부에 앞서 시민단체와 소비자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에 나선 가습기 살균제 사태와 판박이입니다.<br /><br />새 정부는 '독성 데이터베이스'를 구축하겠다고 말했지만, 숭숭 구멍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82705212380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